대한민국 임산부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를 알고 계시나요? 이 원스톱 서비스는 산전 검진, 임신지원금,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등 임신과 관련된 각종 지원을 한 번에 신청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든 통합 행정 시스템입니다.
오늘은 임신을 처음 겪는 예비엄마, 아빠 또는 둘째를 생각하시는 분들 등 이 지원서비스를 모르셨던 분들에게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에 대해 신청 방법부터 어떤 지원을 해주는지 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란?
정부24에서 제공하는 임산부 전용 통합복지 신청 서비스(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로, 임신부에게 필요한 다양한 지원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임신 지원금,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등을 포함합니다. 통합 서비스는 임신부가 여러 기관을 방문할 필요 없이 한 번의 신청으로 모든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해줍니다.
주요 내용 및 신청 시기
맘편한 임신 서비스 중에서 [임신출산 진료비지원(의료수급자)]와 [에너지바우처신청]과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 서비스 신청의 경우 세대원의 동의를 얻어야 서비스 신청이 가능합니다
항목 | 신청 시기 | 비고 |
엽산제 지원 | 임신초기부터 신청가능 | 택배신청가능(택배요금 본인부담) |
철분제 지원 | 임신초기부터 신청가능 | 택배신청가능(택배요금 본인부담) |
표준모자보건수첩 | 임신초기부터 신청가능 | 택배신청가능(택배요금 본인부담) |
맘편한 KTX | 코레일 멤버십 가입 후 | 신청 당일 이용 불가 |
SRT 임산부 | 에스알 멤버십 가입 후 | 신청 당일 이용 불가 |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국민행복카드) | 임신이 확인된 시점 | 건강보험 가입자 |
청소년 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 만 19세 이하 | 별도 바우처 지금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 출산 예정일 40일 이전~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소득 기준 있음 |
에너지 바우처 | 기초수급자 임산부 | 분만 후 6개월 이내까지 신청가능 |
신청 방법
맘편한 임신 원스톱 서비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정부24를 통해 가능하며,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가까운 보건소나 관련 기관을 방문하여 직접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부24에 접속하여 메인페이지->원스톱 서비스->출산/육아 지원->맘편한 임신을 클릭해주세요.
신청하기 버튼 클릭한 후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해주세요.
그 후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신청하고 싶은 서비스를 선택 후 임신확인서 파일을 업로드 하고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스캔본이나 사진으로 업로드 가능합니다.)
*세대원 동의가 필요한 서비스는 세대원 동의서 작성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서비스의 장점
이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임신부가 여러 가지 지원을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여러 기관을 방문할 필요 없이, 필요한 모든 지원을 한 곳에서 받을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합된 정보 제공으로 인해 모르고 있는 지원 혜택없이 임신부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편리하다는 장점 또한 있습니다.
앞으로 임신 계획이 있으시거나 현재 임신 중이신 분들은 임신 확인 직후부터 출산 직전까지 신청이 가능하니, 이 정보를 미리 알아두셨다가 모든 서비스 지원을 다 받으시길 바랍니다. 임산부 본인이 아니더라도 가족이 신청을 도와줄 수 있으므로 주변에 임신을 하신 분이 있다면 이 정보를 공유해보시길 바랍니다:)
제 글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많은 정보도 계속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